과학
시베리아부터 북태평양까지, 하늘을 움직이는 힘들
고구마리아
2025. 6. 30. 22:18
728x90
반응형
📌 1장: 기압이란 무엇일까?
🌀 기압(Atmospheric Pressure) = 공기의 무게
- 우리가 사는 지구에는 공기가 있어요.
- 이 공기가 위에서 눌러주는 힘, 그것이 바로 기압이에요.
✅ 1기압 = 해수면에서의 평균 기압
→ 우리가 가장 익숙한 기준!
📍 기억하기:
오른손으로 👍 따봉을 들면 → 저기압
오른손으로 👍 아래로 내리면 → 고기압
(기압계 바늘의 위치로 외우기 좋죠!)
📌 2장: 등압선은 날씨의 지도선!
📉 등압선(Isobar) = 기압이 같은 지점을 연결한 선
- 등압선이 가깝게 모이면 → 바람이 강하고 날씨 변화 큼
- 등압선이 멀면 → 바람 약하고 안정된 날씨
💡 마치 지도에 그려진 고도선처럼, 기압을 보는 날씨의 지형도예요!
📌 3장: 고기압도 성격이 있다? 정체성 vs 이동성
🌞 고기압은 공기가 위에서 아래로 눌러주는 영역이에요.
✅ 정체성 고기압
- 움직이지 않고 자리를 오래 차지함
- 하늘이 맑고 바람이 약해요
- 예: 시베리아 고기압
🚶♂️ 이동성 고기압
- 이동하면서 날씨를 바꿔줌
- 맑았다가 흐렸다가 변화가 많아요
- 예: 양쯔강 고기압
🧠 비유로 기억하기:
- 정체성 고기압 → “소파에 눕기만 하는 집순이”
- 이동성 고기압 → “바쁘게 움직이는 여행자”
📌 4장: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고기압 (시, 로오, 양, 복)
🧭 계절마다 주인공이 달라져요!
❄️ 겨울:
- 시베리아 고기압
- 성격: 차고 건조
- 특징: 서고동저형 →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음 → 북서풍
- 날씨: 춥고 맑은 날, 눈도 자주 와요
☀️ 여름:
- 북태평양 고기압
- 성격: 따뜻하고 습함
- 특징: 남고북저형 → 남쪽이 높고 북쪽이 낮음 → 남서풍
- 날씨: 덥고 습한 장마, 무더위
🌸 봄·가을:
- 이동성 고기압 + 양쯔강 고기압
- 변화무쌍한 날씨
- 하루는 따뜻, 하루는 쌀쌀
📌 5장: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기단 4종 세트!
기단 이름성격날씨 영향
❄️ 시베리아 기단 | 한랭 + 건조 | 맑고 추운 겨울 |
🌊 오호츠크해 기단 | 한랭 + 다습 | 흐리고 비, 안개 |
🔥 양쯔강 기단 | 온난 + 건조 | 봄·가을 맑고 따뜻 |
🌧️ 북태평양 기단 | 온난 + 다습 | 여름의 무더위, 장마 |
🧠 외우기 꿀팁 비유
- 시베리아 = 냉장고 바람
- 오호츠크 = 냉장고 속 습기
- 양쯔강 = 봄 가을의 산들바람
- 남태평양 = 찜질방 바람
📌 마무리 🌤️
기압과 기단은 그냥 날씨 요소가 아니라,
우리가 입는 옷, 여행 날짜, 아이들 감기까지 다 영향을 주는 숨은 주인공이에요.
날씨 속에 숨은 이 흐름을 이해하면
우리는 자연과 더 가까워지고, 삶도 더 똑똑하게 살 수 있겠죠?
반응형